반응형

과거의 유산들/네트워크 11

데이터통신(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연결 상태 상태 유지(stateful) = 서버가 클라이언트 정보 저장, 따라서 서버 변경시 정보 삭제 무상태 (stateless) = 클라이언트가 모든 정보를 서보로 보냄, 따라서 서버 확장,변경 용이(명절 구매, 이벤트 기간) 무상태 한계 : 그만큼 서버로 보내야할 데이터 많아짐, 로그인이 필요없는(정보를 많이 저장 안해도 되는 간단한 페이지)에 사용 비연결성(connectionless) : (클라이언트와 서버 필요할때만 연결) 비연결성 장점 : 서버자원 효율적 관리, 실질 데이터 요청은 적기에 괜찮 비연결성 단점 : tcp/ip 연결 새로 맺기에 연결/전송/해제 시간 추가 발생,css,image,js 수많은 자원 함꼐 다운로드 따라서 지속연결로 해결 : 서버와 연결 후 다 필요 자..

데이터통신(IP터널링,ICMP)

IP터널링 : IP프로토콜을 유지한채 캡슐화로 (지원 하지 않는 프로토콜, 접근 불가 네트워크)가능하게 해줌 foreign agent:이동 호스트 위치 관장, 이동호스트 따라 터널 형성 & COA(가변/임시주소)할당 및 회수 home agent : 이동호스트 위한 고정주소(고정 IP주소) 표시, fa와의 연결 처리 패킷 전달 과정 이동호스트 목적지 패킷 HA전 ->HA 는 터널링으로 fa에게 전달(이중 캡슐화 진행) ->fa가 이동 호스트에게 전달 ICMP :인터넷 환경 오류 검사 프로토콜, PING프로그램에서 이용 에러 메세지 종류 destination unreachable : 수신호스트 존재x, 접근 불가능함 source quench : 패킷이 버려진 경우, 존재는 함 time exceeded: tt..

데이터통신(라우팅 프로토콜,ip헤더,패킷분할)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두 가지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거리벡터 방식(DVRP),링크상태방식(LSRP) 플러딩 방식 : 라우터가 자신에게 온 패킷을 모든 경로에게 보내는 방식, 무한 생성을 막기 위해 TTL생성 거리벡터 방식 필수 정보 링크벡터 : 이웃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L(X) = [연결된 포트 번호 = 비용 ....] L(R1) = [포트(NET1)=1,포트(NET2)=3] 거리벡터 : 개별 네트워크까지의 거리 정보 D(X) = [거리(A)=B...] D(R1)=[거리(1)=1,거리(2)=1,거리(3)=2,거리(4)=2,거리(5)=2] 다음 홉 벡터 : 개별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다음 홉 정보 다음 홉 벡터 : 목표 네트워크까지 가는데 필요한 바로 다음 라우터 H(X)=[홉=A.....

데이터통신(슬라이딩윈도우프로토콜,네트워크 계층 기능)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 윈도우크기: ack없이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양 순서번호 : 프레임별로 부여되는 순서 번호 0~임의의 최댓값(n비트 데이터 일시,순서번호 범위: 0~2^n-1)까지 순환방식으로 사용, 수신 윈도우>송신 윈도우 크기 정지-대기프로토콜은 윈도우 크기가 1 연속형(pipelinling)전송 윈도우크기가 커 여러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 오류가능성이 떨어지는 환경에서 효율적 오류해결 방식:Go-back-N(오류 발생 프레임부터 그 이후 프레임들 다 버리고 재전송),선택적 재전송(오류 프레임난 것만 재전송) Go-back-N 장점 : 간단한 계산, 정지-대기 대비 고효율 단점 : 불필요한 재전송 발생 선택적 재전송 장점: 불필요한 재전송 방지 단점: 재전송판별을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침 ..

데이터통신(허브,스위치)

허브 : 외형상 스타형 구조로 연결 그러나 내부는 공유버스 형식, 목적지 주소가 없어 모든 주소에 통신 함 따라서 내부에서 데이터끼리 충돌 발생 가능성 있음 스위칭 허브 :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하지 않고 목적지 호스트에게만 프레임 전송, 내부는 n차선으로 이루어져 있음 따라서 충돌을 예방하며 용량이 가능한 한 동시에 여러 호스트에 전송 가능 ---------------- 스위치 : 특정한 호스트를 감지하고 연결시킬 수 있다 스위칭 방식 cut Through : 첫번째 몇 바이트 에 있는 송신,수신 호스트 주소만 읽고 중계 interrim cut-through:cut through의 단점인 작은 프레임에 대해 절충안(512비트 보다 작으면 삭제됨), 이때는 전체를 그냥 읽어버림 store-forward :..

데이터통신(충돌 신호감지 기능,프레임구조)

이더넷과 신호감지기능 충돌 신호 감지 프로토콜 : 전송 매체의 신호감지, 프레임의 전송 여부 결정 1-persistent CSMA : 프레임 전송하기전 사용 여부 확인, 채널 사용 중이면 대기, 유효상태 되자마자 1의 확률로 전송. 단점으로는 탐지를 계속해야하고, 여러 호스트들이 동시에 전송시 충돌 발생확률이 올라감 Non-persistent CSMA : 프레임 전송하기전 사용 여부 확인, 채널이 사용 중이면 임의의 시간 대기후 다시 탐지 시작. 이를 통해 시간은 더 걸리지만, 경쟁이 과열되지 않아 충돌 발생확률이 떨어지게 됨 P-persistent CSMA : 기본적으로 1-persistent CSMA 방식임. 그러나 확률을 1이 아닌 p로 임의의 설정 가능. 이를 통해 여러 호스트들이 동시에 전송을 ..

데이터통신(L2오류제어, 흐름제어)

오류제어 기능 3가지 1. 수신호스트 응답 프레임(ACK) 두가지 응답 존재 : 긍정 응답 프레임(ACK), 부정 응답 프레임(NACK) 부정 응답 프레임 발생시 송신 호스트에서 재전송 기능 실행 복원이 아닌 재전송을 하는 이유는 재전송이 변형이 일어났다는 것만 발견하면 되니까 더 간단하게 오류 처리 가능 그러나 복원을 위해서는 변형 유무,어디서 일어났는지, 무엇이 일어났는지 모두 파악도 해야하니까 복잡함. 2. 송신호스트의 타이머 기능 타임아웃: 일정 시간 안에 긍정 응답 프레임 회신 없을 시 데이터 프레임 재전송 그러면 타임아웃 기능이 있는데 왜 굳이 NACK을 이용을 할까 일정 시간의 이점을 NACK을 통해 얻게 됨 3. 순서번호 기능 중복 프레임 구분 할 수 있도록 지원 프레임 내에 구분을 위해 ..

데이터 통신 2주차 2(라우팅,인터네트워킹,스패닝 트리)

라우팅 시스템 종류 회선교환 방식:고정 대역폭 전송률(연결 경로 1개 확정, 다른 연결 접근 못함), 타 경로 신경 안쓰기에 안정적, 신뢰성도 높아짐. 구조가 단순함 패킷교환 방식:가변 대역폭 전송률(패킷으로 분해, 우선순위 부여 후 각각 전송), 호스트 무제한 수용(그러나 성능 감소), 구조 복잡함. 패킷교환 방식 종류 가상회선 방식:사전 경로로 이동하는 회선교환의 장점과 패킷 단위로 쪼개는 데이터 그램 방식의 장점 결합, 흐름제어 기능으로 순서 보장함, 그러나 전송 도중 충돌이 일어나도 경로대로 보내기에 융통성이 없음, TCP 전송 방식 지원 데이터 그램:경로가 다양하니 충돌되면 다른 경로로 융통성 있음. 효욜적임. 전송 수가 적을수록 더 빠름, 순서 보장하지 않음 UDP 전송 방식 지원 TCP UD..

데이터 통신 2주차(모듈 구조, 서비스 프리미티브, 헤더정보)

모듈화 : 크고 복잡한 시스템 -> 모듈로 나눔, 모듈과 모듈 서로 연동, 동작시키는 인터페이스 필요 장점 : 설계 용이, 구조 단순, 모듈의 독립성 보존 가능(따라서 유지 보수를 전체코드가 아닌 모듈별로 관리 가능) 프로토콜 설계시 고려사항 : 주소표현, 오류제어,흐름제어,데이터 전달방식,서비스 프리미티브 주소표현 : 호스트끼리 구분을 위해, 구조정보 포함(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 1 대 다 통신 지원(멀티캐스팅,브로드캐스팅,유니캐스팅) 오류제어 :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오류 발생 변형 오류 : 깨져서 도착 분실 오류 : 도착을 못함 발생이유 물리적 이유:전송경로가 없거나 전송 신호 약화로 인한 감쇠, 테이터 링크계층에서 제어 논리적 이유:알고리즘 성격으로 인한 오류,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