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두 가지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거리벡터 방식(DVRP),링크상태방식(LSRP)
플러딩 방식 : 라우터가 자신에게 온 패킷을 모든 경로에게 보내는 방식, 무한 생성을 막기 위해 TTL생성
거리벡터 방식 필수 정보
- 링크벡터 : 이웃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L(X) = [연결된 포트 번호 = 비용 ....]
L(R1) = [포트(NET1)=1,포트(NET2)=3]
- 거리벡터 : 개별 네트워크까지의 거리 정보
D(X) = [거리(A)=B...]
D(R1)=[거리(1)=1,거리(2)=1,거리(3)=2,거리(4)=2,거리(5)=2]
- 다음 홉 벡터 : 개별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다음 홉 정보
다음 홉 벡터 : 목표 네트워크까지 가는데 필요한 바로 다음 라우터
H(X)=[홉=A...]
H(R)=[다음홉(NET1)=-,다음홉(NET2)=-,다음홉(NET3)=R4,다음홉(NET4)=R2,다음홉(NET5)=R6]
RIP(DVRP속) : 주기적으로 (30초)마다 주변라우터에게 라우터 테이블 공유, 효율적인 수정사항 있을 시 수정
OSPF(LSRP속) : 주변 라우터에 수정사항 생길시 플러딩 기법으로 모든 라우터에게 공유
IP헤더 구조
version number | header length | ds | ecn | packet length |
identification | ||||
DS/ECN service type:우선순위, 지연,전송률, 신뢰성 값 지정, 서비스 품질 관련 내용
비트번호 | 0 | 1 |
0~2 | 우선순위 | |
3 | 보통의 지연 | 낮은 지연 |
4 | 보통의 전송률 | 높은 전송률 |
5 | 보통의 신뢰성 | 높은 신뢰성 |
6~7 | 예약 |
(6비트 DS필드 + 2비트의 ECN필드)
DS필드 : tjqltm emdrmqdp eogo gkqdml
ECN필드 : 0 0 : IP패킷에서 ECN사용 X
0 1 : ECN기능 지원 (ECT 1)
1 0 : ,,(ECT 0), ECT1과 같은 의미
1 1 : 라우터가 송신 호스트에 혼잡을 통지 할 때
패킷 분할
Identification(식별자/구분자) : 패킷 관련 정보 포함
df(dont fragment) : 패킷이 분할되지 않도록 함
mf(more fragment) : mf 필드 값 1로 지정, 분할 패킷 지속, mf 필드값 0로 지정, 분할 패킷 정지
fragment offset : 분할된 패킷의 분할권 위치하는 상대 주소값, 8비트의 배수로 나눠서 표시
ex)
헤더 제외 전송데이터 크기 380b
패킷 최대 크기 128b
헤더 크기 20b
실질 패킷 전송 데이터 128-20 =108b
108/8 = 13, 108%8 = 4
패킷 길이 108-4(나머지)+20(헤더 크기) = 124
나머지 68+20 = 88
패킷 길이 | mf | fragment offset |
124 | 1 | 0 |
124 | 1 | 13 |
124 | 1 | 26 |
88 | 0 | 39 |
'과거의 유산들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tcp연결) (0) | 2023.11.16 |
---|---|
데이터통신(IP터널링,ICMP) (0) | 2023.11.09 |
데이터통신(슬라이딩윈도우프로토콜,네트워크 계층 기능) (0) | 2023.10.26 |
데이터통신(허브,스위치) (0) | 2023.10.13 |
데이터통신(충돌 신호감지 기능,프레임구조) (0) | 2023.10.05 |